표창장/훈장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대한민국 건국포장

영정에 봉헌된 건국훈장
아래의 자료사진 2장은 후산선생이 일본 헌병에 의하여 검거되었을 당시에 작성된 검거보고서 입니다
자료제공: 국가보훈부
[사진설명] 제목:독립자금모집자 검거에 관한 건 문서번호:密제102호基814高警제9432호 작성일:1920.04.02 작성자:육군성 수신자:原敬(내각총리대신)외
보고서의 내용 *수신자 原敬은 '하라 다카시' 조선총독부 제2대 총독(1914~1921)이다.
1920년 판결당시의 공주지방법원

수감당시의 공주형무소 모습
애국지사 후산(後山)선생 영전에
메모: 아래의 글은 후산선생 타계 후 약 1년간의 업적 탐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로 드러난 후산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타계 1주기를 맞이하여 비석에 새겨 넣은 비문 입니다
여기 조국의 독립과 민족을 위해 일생을 바치신 애국지사 後山 徐丙轍 선생께서 향년 86세로 고이 잠드시다
선생은 조선 선조 인조조의 달성 徐省(서성), 아호 藥奉(약봉)의 11대 손으로 서기 1893년 7월 6일 충남 서산군 해미면 억대리에서 탄생하였다. 일찍이 한학을 배우시고 사립 해명학교에서 忠과 孝와 義의 도를 닦으시며 신학문에 전념하시다가 약관 21세 되시던 경술년 8월 22일 온 민족이 조국을 잃은 통한의 국치를 당하게 되자 선생은 자신의 학문을 버리시고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많은 애국지사와 함께 독립투쟁을 시작하셨다.
국내외에서 대소의 독립운동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동안 선생은 대한독립단원으로 활약하시며 서산군내의 대한독립단 조직과 독립운동 자금 조달을 위해 1918년 서산지단을 조직하셨고 1919년에는 3.1독립 운동에 참가하셨다. 상해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선생은 임정을 도와 독립투쟁을 하시던 중 1920년 피검되어 공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셨고, 출옥후 애국투사 金相玉(김상옥), 明濟世(명제세). 曺晩植(조만식). 金東淳(김동순) 선생 등과 조국광복을 위한 일대의거를 추진하시던 중 재차 피검되어 경성형무소에서 또다시 옥고를 치르셨다. 옥중에서도 출옥 후에도 선생의 투쟁은 계속되었고, 요시찰 인물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모진 박해와 검속의 고난을 무한히 겪으시면서도 혼신의 투쟁을 계속 하시다가 1945년 8월 15일 조국의 광복을 맞이하였다. 광복후 선생은 조국의 통일과 민족의 번영을 위해 조국애와 민족자립 정신을 사회에 심으셨고 우리 민족문화의 전통을 아끼셨으며 근검 절약의 정신을 몸소 실천하시며 애국지사의 모임인 독립동지회에 참여하시어 독립정신의 앙양에 진력하셨다. 이에 대한민국정부는 선생의 애국공적을 기리어 1977년 12월 24일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오호! 애국지사 後山선생은 여기 고이 잠드셨으니 전 생애를 겨레에 바치신 그 고고한 정신과 빛나는 공덕은 이 겨레와 함께 영원히 청사에 남을 것이요. 영예롭고 고귀한 교훈은 후손에 길이 전승될 것이다.
이제 그 무한한 사연을 간추려 이 돌에 새겨 후세에 전한다. 서기 1978년 2월 24일.
선생은 조선 선조 인조조의 달성 徐省(서성), 아호 藥奉(약봉)의 11대 손으로 서기 1893년 7월 6일 충남 서산군 해미면 억대리에서 탄생하였다. 일찍이 한학을 배우시고 사립 해명학교에서 忠과 孝와 義의 도를 닦으시며 신학문에 전념하시다가 약관 21세 되시던 경술년 8월 22일 온 민족이 조국을 잃은 통한의 국치를 당하게 되자 선생은 자신의 학문을 버리시고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많은 애국지사와 함께 독립투쟁을 시작하셨다.
국내외에서 대소의 독립운동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동안 선생은 대한독립단원으로 활약하시며 서산군내의 대한독립단 조직과 독립운동 자금 조달을 위해 1918년 서산지단을 조직하셨고 1919년에는 3.1독립 운동에 참가하셨다. 상해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선생은 임정을 도와 독립투쟁을 하시던 중 1920년 피검되어 공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셨고, 출옥후 애국투사 金相玉(김상옥), 明濟世(명제세). 曺晩植(조만식). 金東淳(김동순) 선생 등과 조국광복을 위한 일대의거를 추진하시던 중 재차 피검되어 경성형무소에서 또다시 옥고를 치르셨다. 옥중에서도 출옥 후에도 선생의 투쟁은 계속되었고, 요시찰 인물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모진 박해와 검속의 고난을 무한히 겪으시면서도 혼신의 투쟁을 계속 하시다가 1945년 8월 15일 조국의 광복을 맞이하였다. 광복후 선생은 조국의 통일과 민족의 번영을 위해 조국애와 민족자립 정신을 사회에 심으셨고 우리 민족문화의 전통을 아끼셨으며 근검 절약의 정신을 몸소 실천하시며 애국지사의 모임인 독립동지회에 참여하시어 독립정신의 앙양에 진력하셨다. 이에 대한민국정부는 선생의 애국공적을 기리어 1977년 12월 24일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오호! 애국지사 後山선생은 여기 고이 잠드셨으니 전 생애를 겨레에 바치신 그 고고한 정신과 빛나는 공덕은 이 겨레와 함께 영원히 청사에 남을 것이요. 영예롭고 고귀한 교훈은 후손에 길이 전승될 것이다.
이제 그 무한한 사연을 간추려 이 돌에 새겨 후세에 전한다. 서기 1978년 2월 24일.
독립동지회 동지 심형택은 글을 짓고, 海淸 손경환은 글씨를 쓰다.
===============================================================================================
후산의 뒷이야기 모음 *다음의 이야기는 후손들이 전해 들었던 후산선생의 비화(秘話)들 입니다*
STORY 1 : 선생이 공주형무소 출옥 후 나이가 3년 위인 김상옥 선생을 만나게 되었고 그를 진심으로 존경하게 되어 의열단에 동참하게 되었는데, 활동할 틈도 없이 또 다시 경성형무소에 수감되는 처지가 되었고 얼마 안되어 김상옥 선생이 자결하였다는 소식을 감옥에서 전해 들은 후 일체의 식음을 전폐하고 죽음의 길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출소예정인 한 동료가 무엇인가를 약속하며 간곡하게 만류하여 이를 멈추게 되었는데, 그 약속은 "내가 나가면 이토 암살에 버금가는 소식을 당신에게 전해줄 것이다, 그러니 그때까지만 살아있어 달라" 였다고 한다. 이때가 1923년 2월경 이었다고 한다.
STORY 2 : 후산 선생의 며느리가 된 공옥화 여사가 시아버지의 두루마리가 하도 낡아 추워보여서 솜을 두텁께 누빈 새 두루마기를 선물하였는데 1주일쯤 후에 두루마기가 없이 집에 돌아온 모습을 보고 며느리가 외투는 어찌 하셨나고 물어보았다. 선생은 10년만에 만난 옛 동지가 겨울에 외투없이 다니는 모습이 불쌍해서 내것을 벗어 주었다 라고 대답하시었다. 이때가 광복 후 1945년 첫 겨울이었다고 한다.
STORY 3 : 후산의 장남 벽봉 서정익 박사가 운영하던 광화문 네거리의 '연합병원' 뒷편 골목에 '경다방'이라는 조그만 다방이 있었는데 후산 선생이 옛 동지들과 자주 만나서 차를 마시며 담소하던 장소였다. 선생은 만나는 사람들에게 항상 쌍화차를 대접하며 이야기를 나누었고 이런 사실이 차츰 알려지며 점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게 되었기 때문에 후산 선생이 지출하는 쌍화차 값도 제법 큰 돈이 되었다. 이에 아드님이신 벽봉선생이 병원 운영비용에서 차값을 지불하게 되었고, 한 술 더떠서 다방주인에게 쌍화차에 계란노른자를 넣어서 대접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이 때가 1960년대 였다고 한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 의인들에 대한 봉사참여의 의미로 나타나는 '카페선결제'와 같은 취지였을 것이다.
STORY 4 : 후산 선생은 장남 정익, 차남 정일 두 아들이 있었는데 차남 정일은 불행히도 6.25전쟁중인 1951년 봄에 서울에서 북한군에 납북되는 사건이 있었다. 선생에게는 가슴이 찢어지는 아픔이었겠지만 다시 만날 날을 기다리며 며느리 조연규 여사와 어린 손자 인석(仁錫 47년생), 손녀 효석(孝錫 45년생)와 함께 서울 봉화산 밑의 중화리(현 중랑구 중화동) 과수원 농가에서 살았다. 1970년대에 서울 상도동의 한옥으로 이사하시어 건넌방에 기거하셨는데 손자 경석이 군대가기 며칠 전인 1977. 2월 14일, 입대 인사드리기 위해 상도동집 건넌방에 들어섰는데 선생이 병석에 누워서 경석에게 '정일이 왔냐' 라고 말씀하시어 경석은 잠시 어리둥절했다고 한다. 그 후 며칠 지나지 않은 2월 24일 후산선생은 눈을 감았고 사람들은 아마도 선생이 둘째 아들 정일을 몹시 그리워면서 눈을 감은 것으로 추모하고 있다.
STORY 5 : 후산 선생의 산소를 서문쉼터에서 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하는 날, 이장작업을 담당하는 업체의 인부들이 파묘를 하게 되었다. 돌아가신지 37년이 지났지만 유해는 온전히 남아있었는데 한 인부가 나지막한 목소리로 말했다. "뼈가 두 군데나 부러진 채로 굳어버렸네, 여기는 우측 쇄골, 여기는 우측 무릎위"... 행사에 참석하였던 손자 경석과 가족들은 비로소 후산 선생이 일제 경찰들에게 당한 혹독한 고문의 후유증과 제대로 된 치료도 받을 수 없었던 환경에서 결국 오른쪽 팔을 잘 못쓰게 되었고 오른쪽 다리는 뻐청다리가 되었다는 사실이 생각났고 살아가면서 가족들에게 전혀 불편함을 내색하지 않았던 선생의 강인함에 새삼 무한 존경심을 갖게 되었다 한다.
STORY 6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대한민국 건국포장

영정에 봉헌된 건국훈장
아래의 자료사진 2장은 후산선생이 일본 헌병에 의하여 검거되었을 당시에 작성된 검거보고서 입니다
자료제공: 국가보훈부
[사진설명] 제목:독립자금모집자 검거에 관한 건 문서번호:密제102호基814高警제9432호 작성일:1920.04.02 작성자:육군성 수신자:原敬(내각총리대신)외
보고서의 내용 *수신자 原敬은 '하라 다카시' 조선총독부 제2대 총독(1914~1921)이다.
1920년 판결당시의 공주지방법원

수감당시의 공주형무소 모습
애국지사 후산(後山)선생 영전에
메모: 아래의 글은 후산선생 타계 후 약 1년간의 업적 탐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로 드러난 후산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타계 1주기를 맞이하여 비석에 새겨 넣은 비문 입니다
여기 조국의 독립과 민족을 위해 일생을 바치신 애국지사 後山 徐丙轍 선생께서 향년 86세로 고이 잠드시다
선생은 조선 선조 인조조의 달성 徐省(서성), 아호 藥奉(약봉)의 11대 손으로 서기 1893년 7월 6일 충남 서산군 해미면 억대리에서 탄생하였다. 일찍이 한학을 배우시고 사립 해명학교에서 忠과 孝와 義의 도를 닦으시며 신학문에 전념하시다가 약관 21세 되시던 경술년 8월 22일 온 민족이 조국을 잃은 통한의 국치를 당하게 되자 선생은 자신의 학문을 버리시고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많은 애국지사와 함께 독립투쟁을 시작하셨다.
선생은 조선 선조 인조조의 달성 徐省(서성), 아호 藥奉(약봉)의 11대 손으로 서기 1893년 7월 6일 충남 서산군 해미면 억대리에서 탄생하였다. 일찍이 한학을 배우시고 사립 해명학교에서 忠과 孝와 義의 도를 닦으시며 신학문에 전념하시다가 약관 21세 되시던 경술년 8월 22일 온 민족이 조국을 잃은 통한의 국치를 당하게 되자 선생은 자신의 학문을 버리시고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많은 애국지사와 함께 독립투쟁을 시작하셨다.
국내외에서 대소의 독립운동이 끊임없이 계속되는 동안 선생은 대한독립단원으로 활약하시며 서산군내의 대한독립단 조직과 독립운동 자금 조달을 위해 1918년 서산지단을 조직하셨고 1919년에는 3.1독립 운동에 참가하셨다. 상해에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선생은 임정을 도와 독립투쟁을 하시던 중 1920년 피검되어 공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셨고, 출옥후 애국투사 金相玉(김상옥), 明濟世(명제세). 曺晩植(조만식). 金東淳(김동순) 선생등과 조국광복을 위한 일대의거를 추진하시던 중 재차 피검되어 경성형무소에서 또다시 옥고를 치르셨다. 옥중에서도 출옥 후에도 선생의 투쟁은 계속되었고, 요시찰 인물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모진 박해와 검속의 고난을 무한히 겪으시면서도 혼신의 투쟁을 계속 하시다가 1945년 8월 15일 조국의 광복을 맞이하였다. 광복후 선생은 조국의 통일과 민족의 번영을 위해 조국애와 민족자립 정신을 사회에 심으셨고 우리 민족문화의 전통을 아끼셨으며 근검 절약의 정신을 몸소 실천하시며 애국지사의 모임인 독립동지회에 참여하시어 독립정신의 앙양에 진력하셨다. 이에 대한민국정부는 선생의 애국공적을 기리어 1977년 12월 24일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오호! 애국지사 後山선생은 여기 고이 잠드셨으니 전 생애를 겨레에 바치신 그 고고한 정신과 빛나는 공덕은 이 겨레와 함께 영원히 청사에 남을 것이요. 영예롭고 고귀한 교훈은 후손에 길이 전승될 것이다.
이제 그 무한한 사연을 간추려 이 돌에 새겨 후세에 전한다. 서기 1978년 2월 24일.
독립동지회 동지 심형택은 글을 짓고, 海淸 손경환은 글씨를 쓰다.
=======================================================
후산의 뒷이야기 모음 *다음의 이야기는 후손들이 전해 들었던 후산선생의 비화(秘話)들 입니다*
STORY 1 : 선생이 공주형무소 출옥 후 나이가 3년 위인 김상옥 선생을 만나게 되었고 그를 진심으로 존경하게 되어 의열단에 동참하게 되었는데, 활동할 틈도 없이 또 다시 경성형무소에 수감되는 처지가 되었고 얼마 안되어 김상옥 선생이 자결하였다는 소식을 감옥에서 전해 들은 후 일체의 식음을 전폐하고 죽음의 길을 선택하였다. 그러나 출소예정인 한 동료가 무엇인가를 약속하며 간곡하게 만류하여 이를 멈추게 되었는데, 그 약속은 "내가 나가면 이토 암살에 버금가는 소식을 당신에게 전해줄 것이다, 그러니 그때까지만 살아있어 달라" 였다고 한다. 이때가 1923년 2월경 이었다고 한다.
STORY 2 : 후산 선생의 며느리가 된 공옥화 여사가 시아버지의 두루마리가 하도 낡아 추워보여서 솜을 두텁께 누빈 새 두루마기를 선물하였는데 1주일쯤 후에 두루마기가 없이 집에 돌아온 모습을 보고 며느리가 외투는 어찌 하셨나고 물어보았다. 선생은 10년만에 만난 옛 동지가 겨울에 외투없이 다니는 모습이 불쌍해서 내것을 벗어 주었다 라고 대답하시었다. 이때가 광복 후 1945년 첫 겨울이었다고 한다.
STORY 3 : 후산의 장남 벽봉 서정익 박사가 운영하던 광화문 네거리의 '연합병원' 뒷편 골목에 '경다방'이라는 조그만 다방이 있었는데 후산 선생이 옛 동지들과 자주 만나서 차를 마시며 담소하던 장소였다. 선생은 만나는 사람들에게 항상 쌍화차를 대접하며 이야기를 나누었고 이런 사실이 차츰 알려지며 점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게 되었기 때문에 후산 선생이 지출하는 쌍화차 값도 제법 큰 돈이 되었다. 이에 아드님이신 벽봉선생이 병원 운영비용에서 차값을 지불하게 되었고, 한 술 더떠서 다방주인에게 쌍화차에 계란노른자를 넣어서 대접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이 때가 1960년대 였다고 한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 의인들에 대한 봉사참여의 의미로 나타나는 '카페선결제'와 같은 취지였을 것이다.
STORY 4 : 후산 선생은 장남 정익, 차남 정일 두 아들이 있었는데 차남 정일은 불행히도 6.25전쟁중인 1951년 봄에 서울에서 북한군에 납북되는 사건이 있었다. 선생에게는 가슴이 찢어지는 아픔이었겠지만 다시 만날 날을 기다리며 며느리 조연규 여사와 어린 손자 인석(仁錫 47년생), 손녀 효석(孝錫 45년생)와 함께 봉화산 밑의 중화리(현 중랑구 중화동) 과수원 농가에서 살았다. 1970년대에 서울 상도동의 한옥으로 이사하시어 건넌방에 기거하셨는데 손자 경석이 군대가기 며칠 전인 1977. 2월 14일, 입대 인사드리기 위해 상도동집 건넌방에 들어섰는데 선생이 병석에 누워서 경석에게 '정일이 왔냐' 라고 말씀하시어 잠시 어리둥절했다고 한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은 2월 24일 후산선생은 눈을 감았고 사람들은 아마도 선생이 둘째 아들 정일을 몹시 그리워면서 눈을 감은 것으로 추모하고 있다.
STORY 5 : 후산 선생의 산소를 서문쉼터에서 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하는 날, 이장작업을 담당하는 업체의 인부들이 파묘를 하게 되었다. 돌아가신지 37년이 지났지만 유해는 온전히 남아있었는데 한 인부가 나지막한 목소리로 말했다. "뼈가 두 군데나 부러진 채로 굳어버렸네, 여기는 우측 쇄골, 여기는 우측 무릎위"... 행사에 참석하였던 손자 경석과 가족들은 비로소 후산 선생이 일제 경찰들에게 당한 혹독한 고문의 후유증과 제대로 된 치료도 받을 수 없었던 환경에서 결국 오른쪽 팔을 잘 못쓰게 되었고 오른쪽 다리는 뻐청다리가 되었다는 사실이 생각났고 살아가면서 가족들에게 전혀 불편함을 내색하지 않았던 선생의 강인함에 새삼 무한 존경심을 갖게 되었다 한다.
STORY 6 : COMING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