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청기념비

본문 바로가기

서산시청기념비

HOME > 후산선생소개 > 서산시청기념비
서산 시청 기념비
SEOSAN  CITY  HALL  MONUMENT
ginyeombi_01.png
<앞에서 본 기념비 / Front View>
74ac2c9647aedbb1e418dcedac4cd054_1714880178_3221.JPG

<가까이서 본 기념비 / Close-Up View>
기념비 위치 : 서산시청 앞 약100m 지점인 오른 쪽 작은 공원(명칭:솔밭공원) 안에 자리하고 있다.


  <기념비 규모>

  전체 높이→2m75cm. 이 중 비신 높이→1m45cm. 가로→52cm. 폭→21cm. 가첨석 높이→45cm. 가로→73cm. 폭→44cm. 그리고 대석은 3단으로 되어 있는데, 하대석 높이→35cm. 가로→1m58cm. 세로→1m29cm. 중대석 높이→42cm. 가로→99cm. 세로→67cm. 상대석 높이→8cm. 가로→81cm. 세로→49cm로 이루어졌는데, 이 중 비신만 오석이고 그 외는 모두 화강석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기념비 전면 중앙에는 한자로 크게 「志士後山徐丙轍紀念碑」(지사후산서병철기념비)라 새겨있고, 또 그 좌우에는 한자로 각각 2열 4행이 음각(陰刻)되어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ginyeombi_center.png

  위의 내용을 우리말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해외에 있는 우리 임시정부를 돕기 위해 모금 활동에 적극적인 협조를 함으로서 일경에 붙들려 심한 고문을 당할 때에는, 일부러 혀를 깨물어 벙어리 행세를 하여 문초에 항거하였고, 또한 국내의 투쟁시에는 온갖 위험한 일과 난관에 부딪쳐도 근검절약의 경제적인 모범을 보여 시종일관 그 뜻을 굽히지 않았다.
  특히 조국이 광복된 뒤에는 세상 사람(世人)들이 지나치게 공로를 자랑하였으나, 유독 후산 선생은 겸손한 태도로 사양하는 겸양지덕(謙讓之德)을 간직하였다.
  후산이 돌아가신 뒤에 정부에서 포상이 내려졌으나, 그의 유지(遺志)를 받들어서 장학회를 설립하여 영재(英才)를 기르니 그 뜻이 영원히 빛날 것이다.

0d76c84bf45e07558ee7fea79d7d3030_1716425529_0715.JPG 좌측면
0d76c84bf45e07558ee7fea79d7d3030_1716425241_199.JPG 뒷면
0d76c84bf45e07558ee7fea79d7d3030_1716425398_6232.JPG 우측면
좌우측면과 뒷면을 이용하여 후산선생의 업적을 새겨 놓았다.
글의 내용은 시청 및 서산문화원의 감독하에 검수되고 만들어졌다.
글의 시작은 좌측면 -> 뒷면 -> 우측면 순서대로 읽어내려간다.
사진 상의 글씨가 작아서 비문탁본을 입수하여 따로 게재할 예정이다.

제막식 당일의 사진기록들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55939_3447.JPG

기념비제막식 -1979 기미년 3월 1일 정오-

3.1절 60주년인 이날 열린 제막식에는 참석자 모두에게 나누어진 삼일절 노래 악보를 들고 서령고등학교 관악대의 연주로 삼일절 노래를 제창하였다.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56127_7899.JPG 서정익 박사의 유족대표 답사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56140_4357.JPG 참석내빈: 국회의원, 군수, 광복회장, 지회장, 유공자유족회장 등..
5546d5d489050ef042cab90b6ca9cbb6_1729493804_9626.JPG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98728_2046.JPG
More Pictures about 3.1. Independence Movement

여기서 잠깐, 
삼일절 노래의 작사가 정인보 선생이 수정을 거듭하며 노랫말을 완성하신 과정이 담긴 원고가 흥미로워서 올립니다
5546d5d489050ef042cab90b6ca9cbb6_1729494234_9242.PNG

More Pictures about 3.1. Independence Movement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2647_3062.JPG독립선언서 & 영문판 독립선언서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2733_3465.JPG
대한문앞 군중행진
아래: 기념비전앞 군중들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1862_9823.JPG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1871_2599.JPG 


[흥미포인트] 위의 사진들에 관련하여 고종 황제가 남긴 행적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1. 광화문 네거리 기념비전

2. 가장 오래된 실물태극기

cffb091359b06c8ca0335cfda77979b0_1742598655_205.jpg

고종황제가 자신의 재임40주년을 기념하여 1902년 현 광화문 교보문고 앞에 건립한 기념비와 그를 보호하는 전각

정식명칭은 '고종황제어극40년칭경기념비' 이다.  위 3.1만세사건 그날 사진에 사람들이 모여있던 곳 바로 그 곳이다.

0f978a86e8f32afa696f5030f7ee4e9d_1742602369_912.png

고종 황제가 자신의 외교고문이었던 미국인 오웬 데니(Owen Nickerson Denny)가 본국으로 귀국하던 1888년 하사한 태극기로서 실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로 알려져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서산 시청 기념비
SEOSAN  CITY  HALL  MONUMENT
ginyeombi_01.png
<앞에서 본 기념비 / Front View>
74ac2c9647aedbb1e418dcedac4cd054_1714880590_4152.JPG

<가까이서 본 기념비 / Close-Up View>
기념비 위치 : 서산시청 앞 약100m 지점인 오른 쪽 작은 공원(명칭:솔밭공원) 안에 자리하고 있다.
  <기념비 규모>

  전체 높이→2m75cm. 이 중 비신 높이→1m45cm. 가로→52cm. 폭→21cm. 가첨석 높이→45cm. 가로→73cm. 폭→44cm. 그리고 대석은 3단으로 되어 있는데, 하대석 높이→35cm. 가로→1m58cm. 세로→1m29cm. 중대석 높이→42cm. 가로→99cm. 세로→67cm. 상대석 높이→8cm. 가로→81cm. 세로→49cm로 이루어졌는데, 이 중 비신만 오석이고 그 외는 모두 화강석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기념비 전면 중앙에는 한자로 크게 「志士後山徐丙轍紀念碑」(지사후산서병철기념비)라 새겨있고, 또 그 좌우에는 한자로 각각 2열 4행이 음각(陰刻)되어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ginyeombi_center.png

  위의 내용을 우리말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해외에 있는 우리 임시정부를 돕기 위해 모금 활동에 적극적인 협조를 함으로서 일경에 붙들려 심한 고문을 당할 때에는, 일부러 혀를 깨물어 벙어리 행세를 하여 문초에 항거하였고, 또한 국내의 투쟁시에는 온갖 위험한 일과 난관에 부딪쳐도 근검절약의 경제적인 모범을 보여 시종일관 그 뜻을 굽히지 않았다.
  특히 조국이 광복된 뒤에는 세상 사람(世人)들이 지나치게 공로를 자랑하였으나, 유독 후산 선생은 겸손한 태도로 사양하는 겸양지덕(謙讓之德)을 간직하였다.
  후산이 돌아가신 뒤에 정부에서 포상이 내려졌으나, 그의 유지(遺志)를 받들어서 장학회를 설립하여 영재(英才)를 기르니 그 뜻이 영원히 빛날 것이다.

0d76c84bf45e07558ee7fea79d7d3030_1716425765_6546.JPG

좌측면

뒷면0d76c84bf45e07558ee7fea79d7d3030_1716425809_8528.JPG

0d76c84bf45e07558ee7fea79d7d3030_1716425848_8329.JPG우측면
좌우측면과 뒷면을 이용하여 후산선생의 업적을 새겨 놓았다. 
글의 내용은 시청 및 서산문화원의 감독하에 검수되고 만들어졌다. 
글의 시작은  좌측면 -> 뒷면 -> 우측면 순서대로 읽어내려간다.
사진 상의 글씨가 작아서 비문탁본을 입수하여 따로 게재할 예정이다

제막식 당일의 사진기록들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55939_3447.JPG
기념비제막식 -1979 기미년 3월 1일 정오-
3.1절 60주년인 이날 열린 제막식에는 참석자 모두에게 나누어진 삼일절 노래 악보를 들고 서령고등학교 관악대의 연주로 삼일절 노래를 제창하였다.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98728_2046.jpg
5546d5d489050ef042cab90b6ca9cbb6_1729494591_9162.JPG
 
여기서 잠깐,  삼일절 노래의 작사가 정인보 선생이 수정을 거듭하며 노랫말을 완성하신 과정이 담긴 원고가 흥미로워서 올립니다
5546d5d489050ef042cab90b6ca9cbb6_1729494801_2987.PNG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56127_7899.JPG
서정익 박사의 유족대표 답사
8fee0a0659057f6c018a007001564c7c_1728556140_4357.JPG
참석내빈: 국회의원, 군수, 광복회장, 지회장, 유공자유족회장 등..
More Pictures...   

대한문앞 군중행진
아래: 기념비전앞 군중들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1862_9823.JPG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1871_2599.JPG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1880_1308.JPG
7ab1313219e93815854453823821f83a_1741561887_6919.JPG

영문판 독립선언서


[흥미포인트] 위의 사진들에 관련하여 고종 황제가 남긴 행적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1. 광화문 네거리 기념비전

2. 가장 오래된 실물태극기

cffb091359b06c8ca0335cfda77979b0_1742598655_205.jpg고종황제가 자신의 재임40주년을 기념하여 1902년 현 광화문 교보문고 앞에 건립한 기념비와 그를 보호하는 전각. 

정식명칭은 '고종황제어극40년칭경기념비' 이다.  위 3.1만세사건 그날 사진에 사람들이 모여있던 곳 바로 그 곳이다.

0f978a86e8f32afa696f5030f7ee4e9d_1742602391_9122.png

고종 황제가 자신의 외교고문이었던 미국인 오웬 데니(Owen Nickerson Denny)가 본국으로 귀국하던 1888년 하사한 태극기로서 실물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로 알려져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Copyright 2023 BY 후산투자개발 ALL RIGHTS RESERVED.